판도라미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다양하네요
처음 회사에서 신세계상품권인 줄 알고 봉투를 받고 매우 좋아서 방방 뛰었는데 봉투를 열어보니 너무나 낯선 이 것!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차도 모르겠고 현금교환을 해야하기에는 또 무언가 마음에 걸리고 해서 분명히 쓸데없이 만들지는 않았을거라는 믿음을 시작으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정리를 해봤는데 꽤 다양해서 놀랐어요. 무조건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 하시는 것보다는 일단 사용처 한번 보시고 결정하세요!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의 활성화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기업청이 함께 힘을 합쳐 만든 것이라고하는데요. 현금교환은 별도로 받는 곳이 따로 있는 것이고 전국 가맹시장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현금처럼 사용 할 수 있다고 해요. 지류상품권과 전자상품권의 차이라면 조금 더 높은 가격인 오만원 및 십만원등 고가로 구매가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고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등은 동일하다는 점도 일단 참고하시고 시작할게요.
우선 위에 언급한 것처럼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중 한가지는 가맹시장에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한 것인데요. 제가 삼산동 근처에 살다보니 부평역 근처에 있는 부평 깡시장을 검색해보니 야채, 청과 부터 잡화, 모자, 젓갈, 반찬까지 다양한 사장님들이 이미 등록이 되어있었어요. 그렇다면 부평 깡시장 해당 가맹점에서는 당연히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등록과 마찬가지니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네요.
그런데 시장에서만 사용하면 아무래도 사용폭이 너무 좁아서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크겠죠? 찾아보니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상품권을 이용하면 우체국전통시장을 시작으로 인터파크 비즈마켓 온누리 팔도시장까지 다양한 온라인 구매처도 준비되어있었어요. 믿을만한 우체국 쇼핑까지 올라와 있으니 굳이 시장에 가는 것이 번거로우신 분들은 이렇게 온라인 거래를 이용해서 사용하셔도 되겠네요. 지류는 사용이 불가능하겠지만 말이에요!
아래는 위에서 언급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중 온라인 마켓에 URL 주소를 공유드리는데요. 시장관 입점은 아무업체나 되는 것은 아니고 전용쇼핑몰 입점 이후 신청서를 작성하고 심사절차를 통해서 상품등록이 가능한 단계까지 승인이 나야 한다고 하니 조금 더 안심하고 해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위 업체들은 일단 상위 절차를 모두 정상적으로 받은 업체들이랍니다.
오늘은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어떤곳들이 있는지 시장조회 부터 마켓조회까지 진행을 해보았는데요. 근처에 시장이 있다면 더욱 사용도가 높을 것 같고 온라인 마켓을 이용가능하다면 굳이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까지는 필요없을 것 같아요. 지역경제 활성화 증진을 위해서 최대한 사용하는 쪽으로 다시 생각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내일도 유용한 정보 포스팅으로 찾아올게요! 안녕!
|
Blog is powered by kakao / Designed by 미스터짱